HOME / 칼럼/영상 / 칼럼

칼럼

2023-2024년, 기업 조직 내부의 변화와 시사점

더밸류즈 2024.06.03 22:11

1. 취지

본 리포트는 2023년(5차)과 2024년(3차)에 걸친 기업문화개선세미나에 참석한 기업문화 담당자들이 제시한 의견을 분석하여, 최근 조직 내 변화의 주요 패턴과 이에 따른 시사점을 검토한 보고서이다.

2. 2023년 조직 내부 변화

1) 세대 간 갈등 및 변화 요구 증가: MZ세대와 기성세대 간의 커뮤니케이션과 업무 스타일 차이가 두드러지며, 세대 갈등이 심화됨

2) 조직문화의 개인화 및 수평적 문화 강조: 직원 개개인의 행복감 중시, 수평소통문화의 강조가 두드러짐

3) 고용 안정성 감소 및 업무 태도 변화: 이직률 증가, 직장에 대한 장기적 애착 감소 경향

4) 코로나19 이후의 영향과 조직문화 변화: 재택근무와 비대면 업무의 활성화, 소통 니즈 증가

5) 조직 내 구조적 변화와 인력 동향: 중간 관리층의 이직 증가, 신입 및 경력직 채용 증가

3. 2024년 조직 내부 변화

1) 세대 간 소통 및 문화 충돌: MZ세대와 기성세대 간 업무 스타일, 가치관 차이로 인한 커뮤니케이션 어려움

2) 개인주의 증가와 조직 내부 문제: 높은 이직률, 직급별 갈등, 부정적 의견 표출의 활성화

3) 조직문화의 변화와 경영진과 리더의 도전: 수평적 조직문화, 유연근무제 요구 증가, 직원 복지 증진과 워라밸 추구

4. 2023-2024년, 조직 내부 변화의 공통점

1) 세대 간 갈등 : 두 해 모두 세대 간 갈등이 조직 내 긴장의 주요 원인으로 제시

2) 개인주의 경향 증가: 조직원들의 개인의 삶과 워라밸을 중시하는 경향 지속

3) 직원 유지의 어려움과 이직률 증가: 빠른 퇴사와 이직의 증가

4) 유연근무제 및 수평소통문화의 강조: 유연근무제 도입 및 수평적 문화 강조 지속

5. 2023-2024년, 조직 내부 변화의 차이점

1) 조직문화 인식의 변화: 2024년에는 조직 내 갈등과 커뮤니케이션 문제가 더욱 부각됨

2) 조직문화 개선 노력의 변화: 2023년은 개인 요구에 집중하는 반면, 2024년은 이를 조직 전반에 통합하려는 시도가 강조됨

6. 2023-2024년 2년간 조직 내부 변화에 대한 시사점

1) 세대 간의 격차 해소: 세대 간의 이해와 커뮤니케이션 강화를 위해 조직문화 교육 및 워크숍 등 조직 활성화 노력 필요

2) 개인주의와 조직의 이익의 조화: 구성원 전반의 개인주의는 하나의 거대한 트렌드로서 개인주의적 경향을 인정하고 조직의 목표를 조화롭게 연결할 전략 필요

3) 유연한 조직 구조 및 문화 형성: 유연근무제와 수평소통문화를 조직문화에 효과적으로 통합할 필요

4) 직원 유지와 직원 만족도 향상: 조직문화의 개선 및 적절한 보상체계 확립을 통한 직원 만족도 향상 노력 필요

이 리포트는 최근 조직 내부에서 발생하는 변화와 그에 따른 도전을 이해하고, 효과적인 대응 전략을 개발하는 데 도움을 제공할 것이다. 조직은 보다 선제적인 대응을 통해 기업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 적극적인 노력이 필요하다.

정리 : 정진호소장(더밸류즈 가치관경영연구소/경영학박사)